[환경안전팀 기고문] 화장지 공장의 가연성 먼지로 인한 분진 폭발 위험에 관하여...
작성자
jakyung
작성일
2020-06-15 16:21
조회
2711

‘가연성 먼지’는 화장지 공정에서 잘 알려진 위험 요소입니다. 화장지 기계에서 발생하는 지분(미세 펄프 조각)은 공장내 공기질을 악화시키고 ‘먼지층’을 생성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요소로 존재합니다. 국내 화장지 업체는 철저한 안전규칙을 시행하여 지절 파지 점화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상할 수 없는 공장내 먼지층 화재 폭발 위험성에 대해서 재고함은 중요합니다. 美직업안전건강관리청(OSHA.gov, 이상 안전청)에서는 500 마이크론(35매쉬) 이하 입자는 ‘잠재적 화재 폭발 가연성 먼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미세펄프지분을 탄소성 먼지로 분류하여 위험을 알리고 있습니다. 가연성 먼지 화재 폭발은 5개의 조건이 충족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밀폐공간 2) 점화원(點火源) 3) 연료 4) 산화제 5) 서스펜션(이상 먼지층). 중요한 것은 직접적인 화재보다 화장지 공장내 지분으로 인한 2차, 3차 폭발이 가장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2019년 제지 공장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가연성 먼지로 인한 폭발 사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은 불씨가 지분층을 만나 빠르게 확산 후 폭발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안전청에서는 상기 언급한 5개 요소 중 화장지 공장에서 설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밀폐 공간 또는 먼지층 제거만으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실제 우리 산업현장에서 어렵지만 5개 요소 전체를 ‘제어’하는 노력을 해야함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화재예방협회(이상 NFPA)에서는 제지회사에 대해서 4가지 안전사항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1. NFPA 기준 공장별 DHA(Dust Hazard Analysis, 먼지 위험 분석) 수행(5년1회)
2. 사용 원부재료 대상 가연성 및 폭발성 식별 후 분류
3. 식별된 화재 및 폭발 위험물 관리 체계 운영
4. 화재 안전 관리 시스템 운영
상기 언급한 내용 대부분 국내 화장지 업계에서는 선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정기적 공장 바닥 및 기계 세척, 배기 장치 항시 운영, 공기질 점검 등 지면 위 먼지층 제거를 위한 지속적 활동이 있습니다. NFPA에서는 0.8mm이상의 먼지층을 잠재적 위험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에어-건 청소는 결국 먼지구름을 생성하기에 매우 위험합니다. 전문 업체의 도움을 받아 최적화된 환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장 전반 먼지포집기(Dust Collector)의 올바른 가동을 통해 비산 먼지를 관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NFPA에서도 제일 강조하는 것은 ‘종사자 교육과 참여’입니다.
『결국 안전은 하드웨어적 투자가 아닌 소프트웨어적 항시 점검이 중요함』을 알리고 있습니다.
NFPA에서는 화장지 현장 종사자에게 두가지 위험 신호를 항시 점검할 것을 권고합니다.
1. 공장 지면 색깔을 볼 수 있습니까?
2. 공장 지면 위 먼지층에 이름을 쓸 수 있습니까?
매우 쉬운 방법이지만 화장지 현장 종사자는 화재발생 후 지분층 ‘분진 폭발’의 위험성을 항상 염두해두면 좋습니다. 먼저 언급하였던 2019년 화장지회사 사고 사례는 영세업체가 아닌 조지아-퍼시픽社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서 발생한 전소 화재였습니다.
세계 최고 품질과 생산성을 자랑하는 국내 화장지 업계도 항시 ‘안전제일’ 하셔서 2020년 무탈하고 성공적인 한 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2020년 6월 15일 자경케미칼 환경안전팀 제공 -
전체 576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569 |
[업계 레이다] 다사다난한 美인터내셔널-페이퍼
jakyung
|
2025.01.08
|
추천 1
|
조회 389
|
jakyung | 2025.01.08 | 1 | 389 |
568 |
🛑중국 경제의 침체와 제지 산업 위기 가능성
jakyung
|
2024.12.13
|
추천 4
|
조회 16476
|
jakyung | 2024.12.13 | 4 | 16476 |
567 |
🌎 도널드 트럼프의 재선과 미·중 제지 산업의 불확실한 미래
jakyung
|
2024.12.11
|
추천 3
|
조회 520
|
jakyung | 2024.12.11 | 3 | 520 |
566 |
[🖊️영업사원 특별기고] 구룡제지, 호실적 뒤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
jakyung
|
2024.12.11
|
추천 1
|
조회 405
|
jakyung | 2024.12.11 | 1 | 405 |
565 |
Smurfit Westrock, 합병의 기회와 도전
jakyung
|
2024.12.11
|
추천 1
|
조회 344
|
jakyung | 2024.12.11 | 1 | 344 |
564 |
[🖊️영업사원 특별기고] 인터내셔널 페이퍼의 구조조정, 미래를 위한 선택인가?
jakyung
|
2024.12.11
|
추천 1
|
조회 304
|
jakyung | 2024.12.11 | 1 | 304 |
563 |
[🖋️영업사원 특별기고] 중국 천밍제지의 실망스러운 현재
jakyung
|
2024.12.11
|
추천 1
|
조회 369
|
jakyung | 2024.12.11 | 1 | 369 |
562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 종이 포장 산업의 새로운 과제
jakyung
|
2024.12.11
|
추천 1
|
조회 225
|
jakyung | 2024.12.11 | 1 | 225 |
561 |
📑최근 발표된 국제 판지 시장 전망 관련...
jakyung
|
2024.12.11
|
추천 1
|
조회 281
|
jakyung | 2024.12.11 | 1 | 281 |
560 |
중일 관계 변화와 일본 제지업계의 중국 시장 전략
jakyung
|
2024.11.17
|
추천 3
|
조회 424
|
jakyung | 2024.11.17 | 3 | 424 |